본문 바로가기

리뷰

2023년 버전 TV 잘 고르는 방법 과 2023년 현재 가장 가성비 좋은 TV 추천입니다.

2023년 버전 TV 잘 고르는 방법 과 2023년 현재 가장 가성비 좋은 TV 추천입니다.

2023년 버전 TV 잘 고르는 방법 과 2023년 현재 가장 가성비 좋은 TV 추천입니다.

다른 제품들과 다르게 TV 고를 때는 Full HD , 4K, 8k 등 해상도가  다양하죠? 그런데 그뿐만 아니라 패널 역시 LED, QLED, OLED 등 굉장히 다양하고요. 브랜드도 삼성 LG 뿐만 아니라 국내외 중소 브랜드까지 정말 정말 다양합니다. 굉장히 머리가 아파지려고 하는데요. 걱정 안 해도 됩니다 이 포스팅을 보시면 내가 뭘 원하는지 알게 되실 거고 그 원하는 거 에서 가장 가성비 좋은 제품을 고를 수 있게 될 겁니다.

티브이를 살 때 고려해야 할 점!

첫 번째 크기 와 해상도입니다.

티브이는 당연히 크면 클수록 좋은 거 아닌가?라고 생각하실 수 있겠지만  절대 아닙니다.  여러분이 영화관에 가서 1열에 한번 앉아 보신 적이 있으신가요?  내 목 아픈 건 내 눈 아픈 것에 모든 것이 신경이 쓰입니다. 티브이의 크기는 사용하는 공간에 따라서 달라져야 하는데요. 현재 거주하고 있는 여러분에 공간에 평수 곱하기 2를 해 주시면 됩니다. 예) 40평이 넘는 중대형평수의 경우에는 한 80인치 정도

 

해상도는 어렵지 않습니다. 무조건 4K사지면 됩니다. 물론 현시점에서는 지상파 방송은 물론 YouTube, Netflix 등 대부분의  콘텐츠들이 풀 HD상으로 제공이 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플랫폼에서  4K 콘텐츠를 점점 늘려가고 있는 상황이고요. 무엇보다도 삼성이나 LG 같은 대기업은 물론이고 국내외 중소 브랜드들  역시 Full HD를 단종시키고 4K 와 8K 확장해 가고 있는 상황이니까 Full HD 보다는 4K를 선택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물론 4K이가 더 비싸지만 가격 차이는 그렇게 많이 나지 않습니다.

 

여기서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그럼 4K 보다 8K 이를 사는 것이 났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겠지만 하지만 현재 8K 콘텐츠는 전무할 정도입니다.  그래서 결론은 여러분 평수 곱하기 2를 하셔서 크기를 맞추시고 4K를 사시고 여유가 너무 된다 하시면 8K를 사셔도 됩니다.

 

 

두 번째 바로 패널입니다.

LED, Q LED, O LED 이렇게 3가지 정도로 보시면 되는데요 여기서 LED는 가장 기본적인 방식이고  Q LED와 O LED는 LED보다 더 발전된 방식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지금 밑에 표를 보시고 장단점을 정리해 드렸습니다.

  LED Q LED O LED
장점 가성비 좋음 우수한 화질, 빛이 많은 곳에서도 사용적합 우수하고 자연스런 화질, 암부 표현력 뛰어남
단전 상대적으로 낮은 화질 비쌈 매우 비쌈

첫 번째 LED의 장점은 가성비가 좋으며 QLED와 OLED에 비해 가격의 차이는 50만 원~100만 원의 차이가 납니다. 하지만 비교했을 때 조금 떨어지는 수준이지 우리가 집에서 Netflix YouTube 이런 거 볼 때는 전혀 부족함이 없는 입니다. 가성비는 원하신다면 고민 말고  LED panel을  고르시면 됩니다.

 

두 번째 Q LED 패널입니다. LED에 Q가 붙었죠? 퀀텀닷 기술이 추가된 제품이에요. 쉽게 말하면 LED 패널보다 명암이나 색 재현율, 암뷰 표현력이  훨씬 더 좋아졌고요. 무엇보다 밝기가 상당히 밝은 편이라서  빛이 잘 들어오는 거실이나 조명이 강한 공간에서 쓰기 좋은 패널입니다. 가격 차이는 일반 LED 비해서 20프로 정도 비쌉니다. 이 정도를 지불할 수 있다면 Q LED를 선택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세 번째 가장 화면이 선명하고 자연스러운 Q LED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LED와 Q LED는 지금 보시는 이미지처럼 그림이 앞에 있고 뒤에서 커다란 빛이 나오는 판이 빛을 쫙 비춰주면서 이 사물을 보여주는 형태입니다.

반면 O LED는 이 백라이트 판이 없습니다. 그냥 이 앞에 자체에서 작은 전구들이 모여서 색을 바꾸고 빛을 발하는 밝기를 조절하는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LED와 Q LED 같은 경우에는 뒤에 백 라이트가 켜져 있다 보니 아무래도 그림자가 밤하늘의 우주처럼 이런 어두움을 표현할 때도 어쩔 수 없이 뿌옇게 빛이 비치는 반면 O LED방식은 어두운 부분은  전구를 아예 꺼 버리기 때문에 더 자연스러운 암부 표현 능력을 보여줍니다. 거기다가 뒤에 있어야 할 백 라이트가 없다 보니 티브이가 더 얇아질 수 있습니다. 사실 요즘 티브이들은 화질이 너무 좋고 색감도 너무 좋습니다. 그래서 이 영상에 대해서 몰입감은 이러한 암부 표현능력에서 옵니다.  정말 어두운 걸 압도적으로 어떻게 볼 수 있는지 이런 것에서 나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LED 나 Q LED 비해서 최대 밝기가 낮아 채광이 잘 되는 창가나 빛이 많은 공간에 쓰기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가격대가 조금 높게 설정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정리를 해보자면 예산이 한정적이고 가성비가 중요하다 하시면 LED를 선택하시고요.  LED 비해서 상대적으로 우수한 화질을 원하고 채광이 잘 들어오는 거실에 설치한다면 Q LED를 선택하세요. 영상에 대한 몰입감과 색감을 원하시면 O LED를 고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세 번째 바로 브랜드입니다. 티브이 브랜드는 크게 삼성과 LG 그리고 이런  대기업들과 그의 중소기업입니다.

일단 티브이 시장에서 LG와 삼성은 넘사벽 완전 톱클래스이고  전 세계적으로 1위 2위를 다투고 있고 화질과 색감 그리고 다양한 기능들을 가지고 있는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좋은 것을 바로 AS입니다.

하지만 티브이는 가전 중에서 고장이 잦은 가전은 아닌 긴 합니다. 하지만 또 고장이 났을 때 수리받는 것이 상당히 까다롭습니다. 이 제품을 들고 서비스센터에 사실상 가기는 무리입니다. 그래서 기사님이 방문해 주셔야 하는데 이런 부분에서는 삼성과 LG를 따라올 수 있는 브랜드는 없다고 말씀 들리수 있을 것 같아요.

반면에 중소기업 말도 안 되는 엄청난 가성비와 편의성으로  승부를 보는 편인데요. 스펙 차체를 비교해 보면 대기업 제품과 큰 차이가 없는데 가격은 거의 반값입니다. 물론 그럴 수 있는 이유는 이 안에 들어가는 패널들이 대부분 중국산 저렴한 패널이기 때문인데요. 솔직히 말하면 화질적인 크기가 그렇게 크진 않습니다. 있긴 하지만 중국산의 퀄리티도 꽤 많이 높아졌습니다. 예전에는 아쉬움이 컸지만  최근에 출시된 제품들은 전반적으로 만족도가 굉장히 높습니다. 특히 대기업에 LED 라인업을 생각 중이신 분들 또는 나는 예산이 한정적이어서 가성비 라인업으로 갈 수밖에 없겠다 하시는 분들이 동일한 가격이면 훨씬 더 좋은 스펙의 중소기업제품을 선택할 수 있으니까 이렇게 넘어 가시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그리고 요즘은 중소기업 제품이라고 해서 성능이나 AS를 무시할 수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안드로이드 OS 가 깔려 있고 크롬 캐스트 내장이 되어있어 Netflix YouTube 심지어 보증기간도 대부분 5년 이상 될 정도로 이 AS에 대해서 진심인 브랜드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물론 대기업에 비하지는 못하지만 이 중소기업의 제품들도 믿고 쓸 만큼 굉장히 좋은 사후 지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그럼 제품을 추천해 드리겠습니다.

이스트라 4K UHD Q LED 구글 안드로이드 스마트 TV

첫 번째 중소기업 제품인데요 이스트라 4K UHD Q LED 구글 안드로이드 스마트 TV입니다. 가격은 450,000원 때부터 990,000원까지입니다.  인치도 55~75인치 까지 선택이 가능하시고요. 중소기업 제품인데도  AS를 무려 8년(2년 무상 +6년 유상)입니다.

이 제품은 중소기업 제품 중 가장 만족도가 높은 제품인데요. 중소기업의 단점인 AS의 단점을 잘 살린 것 같습니다.

 

삼성 4K Q LED TV

제가 두 번째 삼성 4K Q LED TV입니다. 크기는 43인치부터 75인치까지 굉장히 다양합니다. 가격은 60만 원 때부터 최대 180만 원 때까지 형성되어 있고요. 삼성의 숨은 가성비 제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LG 4K O LED TV

 세 번째는 LG 4K O LED TV입니다. 48인치부터 77인치 까지 굉장히 다양합니다. 가격은 115만 원에서 최대 430만 원까지 형성이 되었습니다.